테라폼으로 생성할 인프라의 종류
- 보통 provider.tf로 파일 생성
// provider.tf
terraform {
required_version = "~> 1.0"
required_providers {
aws = {
source = "hashicorp/aws"
version = "~> 4.46"
}
}
}
provider "aws" {
region = "ap-northeast-2" // 서울 리전 사용
}
테라폼으로 실제 생성할 인프라 자원
- main.tf, vpc.tf 등 원하는 형태로 파일 이름 사용
테라폼을 통해 생성한 자원의 상태
- 테라폼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(terraform.tfstate)
테라폼으로 만든 자원의 변수 형태로 state에 저장
**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코드
**를 모듈 형태로 정의